
2003-2007
농촌유학이 한국에 알려지다
2003년 한국에서 최초로 산촌유학 시작, 도시 아이들 5명에게 시골 고향 만들어 주기 위해 산촌유학이라는 이름으로 경남 함양에서 햇살네(김일복)가 시작 2006년 일본 산촌유학현장 탐방(민들레, 교보생명문화재단) 2006년~2007년 한국토지공사 지원으로 생태산촌이 주관(민들레, 귀농운동본부, 작은학교살리 기연대 공동 컨소시엄)으로 하여 ‘산촌유학 기본계획 수립’과 산촌유학 현장시범지역 지원사업(한드미, 함양, 완주, 상주) 등을 실시

2007-2010
농촌유학 현장이 만들어지다
2007년 전북 완주(고산), 경북 상주(시골살이 아이들 외), 충북 단양(한드미)에서 농촌유학 시작 2008년 산촌유학활동가 양성과정(주관-생태산촌) 2008년 산촌유학협의회 결성(대표-송난수) 2008년 영남지역 산촌유학활동가 양성과정(주관-산촌유학협의회) 2009년 산촌유학한마당(한일 컨퍼런스-지역 활성화를 위한 산촌유학의 방향과 과제, 산촌유학 배 움과 나눔/ 장소-교보생명빌딩 / 주최-생태산촌만들기모임, 전국산촌유학활동가협의회) 2010년 농림부의 농어촌유학 시범사업 실시(한드미, 도리, 철딱서니) 2010년 도시아이 농산어촌유학 프로젝트(촌스테이) 실시(~2012년)

2011-2014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며 농촌유학전국협의회 법인이 설립 되다
2011년 7월 사)농촌유학전국협의회 법인 설립(초대 이사장-정현숙) 2011년 농어촌유학센터 지원사업 시작(계속) 2011년 농산어촌유학전국한마당(강원 춘천) 2012년 전교조 참교육실천대회 참가(광주 조선대) 2012년 농산어촌유학 농가지원사업 2012년 농산어촌유학전국한마당(전북 장수) 2012년 농산어촌유학 운영주체교육 실시(경북 예천) 2012년 농산어촌유학 예비유학과정 지원사업 실시(~2016년) 2013년 농촌마을교육공동체 구축과 활성화 방안 국회토론회(국회의원회관) 2014년 농촌유학 부모교육 월례강좌 실시(서울)

2015-2017
삶의 교육을 위한 공동의 노력과 활동이 본격화 되다
2015년 건신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과 MOU 체결 2016년 농촌유학활동가양성과정 프로그램개발 워크숍(대전 건신대) 2016년 농촌유학활동가양성과정 시범운영(60시간, 1차-제주, 2차-군위, 3차-온라인) 2016년 한일농촌유학활동가간담회(서울 정독도서관) 2017년 19대 대선 농정과제 공동제안 발표회 공동 참가(서울) 2017년 농촌유학설명회(서울) 및 제1회 농촌유학 현장팸투어 2017년 청와대 농어업비서관실 간담회(서울) 2017년 농촌유학활성화협의체 구성 및 회의 개최(대전) 2017년 농촌유학활동가교육(한드미) 2017년 2017일본산촌유학 현장연수(일본 나가노)

2018
삶의 힘을 키우는 농촌유학의 길을 만들어가다
2018년 일본산촌유학 현장연수 보고회(서울 하자센터) 2018년 농촌유학설명회(대전, 서울, 대구) 2018년 제2회 농촌유학 현장팸투어 실시 2018년 농촌유학표준운영매뉴얼 연구용역(건신대) 2018년 농촌유학 발전방안 연구용역(공주대) 2018년 농촌유학 홈페이지 개설 2018년 농촌유학 교육길라잡이 제작(민들레)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현장 운영을 원하시는 분, 활동가를 희망하는 분, 농촌유학을 보내고픈 부모 그리고 농촌 유학과 관련하여 궁금한 누구든 연락 주세요.
협의회 구성원

정문찬 이사장 hp010-8745-2625

양문효 사무처장 hp010-5006-5202

유영순 코디네이터 hp 010-3567-9975

박헌춘 코디네이터 hp 010-8237-7421

김석구 이사 hp010-4920-3136

강정연 이사 hp010-2968-4474

김태양 이사 hp010-9700-8139

김선아 감사 hp010-2291-3975

주윤창 이사 hp010-3088-5045

최기철 이사 hp010-9492-6368

송난수 감사 hp010-5375-2657

장보영 이사 hp010-2640-1225

류시성 이사hp010-473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