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살이농촌유학센터

스스로 서고(자립) 더불어 살며(평화) 서로 살리는 교육(나눔)

생활속에서, 시골살이를 통해서 자립심을 높이고, 절기를 느끼며 자연속에서 더불어 사는 모습을 배우고, 서로 돕고 나누는 교육을 실천하는 배움터입니다.





주요 프로그램

  • Responsive image

    꼬마농부: 자립

  • Responsive image

    인문독서: 지혜

  • Responsive image

    여행학교: 진로

  • Responsive image

    예술학교: 감성

  • Responsive image

    건강학교: 체육

  • Responsive image

    봉사학교: 나눔

Responsive image
꼬마농부: 자립

아이들의 먹거리 중요성 때문에 우리가 먹는 것은 되도록 농약을 안하고, 화학비료도 안쓰고 직접 가꾸는 것들을 손수 재배해 먹고 있습니다. 해서 매주 토요일은 팜데이라고 해서 함께 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Responsive image
인문독서: 지혜

아이들에게 간접적 스승이라 할 수 청소년 인문학 책을 통해 꿈도 찾고 새로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독서를 함께하고 있습니다.

Responsive image
여행학교: 진로

아이들에게 여행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발로 찾아가는 새로운 만남의 과정에서 지역도 배우고, 우리나라 자연도 아름다움도 보고, 거기에 살았던 사람과 문화 그리고 예술들을 만나면서 자기의 존재감과 역사적 의무를 배우고 있습니다.

Responsive image
예술학교: 감성

아이들에게 감성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해서 우리 전통 가락인 사물놀이를 함께하고 있으며, 아울러 리코더 오카리나 하모니카 통키타 등을 선택해서 함께 배우는 과정을 운영합니다.

Responsive image
건강학교: 체육

학생시절 규칙적인 운동은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가벼운 체조 나 산책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으며, 모든 학생들에게 1인 1운동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Responsive image
봉사학교: 나눔

남과 함께 살아가는 교육도 필요합니다. 분기별로 마을청소, 독거 노인들 집 방문해서 청소하기 및 말벗해드리기, 고아원 양로원 방문 봉사활동 등을 합니다.




활동가 소개

  • Responsive image

    간디샘(최기철)

  • Responsive image

    영마샘(이영미)

Responsive image
간디샘(최기철)

철이 든 사람, 철이 난 사람, 철이 된사람을 만드는 대장장이를 꿈꾸며 보통 세계시민들을 육성하는 배움터가 되겠습니다. 교육은 <깨달음>이라고 생각하며, 좋은 경험은 평생 자산입니다.

Responsive image
영마샘(이영미)

농촌은 희망이고 농업은 생명이고 우리 아이들은 보배입니다. 농촌유학을 하면서 느꼈던 점이나 경험, 앞으로의 방향 등 약간만 더 길게 작성해 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학생들에게는 제 2의 고향을 만들어 주며, 언제든 찾아 올 수 있는 따뜻한 쉼터가 되겠습니다. 우리의 만남은 우연이 아닙니다.




공간소개

  • Responsive image

    참살이농촌유학센터

  • Responsive image

    학교

  • Responsive image

    마을

참살이농촌유학센터

2011년 3월 2명의 학생이 석곡초등학교로 전학하면서 출발했습니다. 우리 참살이농촌유학은 2006년에 개교하여 작지만 큰 아이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제 2의 고향을 만들어 주고 있으며, 생활 중심+삶 중심 자립활동을 집중적으로 교육하고 있습니다.

학교

정보 없음

마을

정보 없음




오시는길

참살이농촌유학센터

주소 : 전남 곡성군 석곡면 노치로 406
전화번호 : 061-363-7775
핸드폰 : 010-7104-6368
이메일 : ckc121212@hanmail.net

서울역 출발시
서울역
곡성역
곡성터미널
석곡버스터미널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출발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광주고속버스터미널
석곡버스터미널(송광사행)